웹툰 <녹두전>은 어떻게 드라마 <조선로코-녹두전>이 되었나?
- 콘진원, 5일 광화문 CKL기업지원센터서 ‘명랑하게 마주한 시선’ 주제로 역발상 토크콘서트 개최
- 웹툰 <녹두전> 원작가 혜진양, <조선로코-녹두전> 김동휘 PD 연사로 나서
- 문화체육관광부(장관 박양우)와 한국콘텐츠진흥원(원장 김영준, 이하 콘진원)은 5일(목) 서울 광화문 CKL기업지원센터에서 역사 소재 콘텐츠 전문가와 예비 창작자의 소통의 장, <2019 역발상(*역사에서 발견하는 상상) 토크콘서트>를 열었다.
- 지난 달 종영한 ▲KBS2 드라마 <조선로코-녹두전>을 비롯해 <쌈 마이웨이>, <동정 없는 세상> 등을 연출한 김동휘 PD와 ▲웹툰 <녹두전>, <한 줌 물망초>, <미호 이야기>를 연재한 인기 웹툰작가 혜진양이 나선 이번 콘서트에는 170여 명의 관객이 자리해 웹툰과 드라마의 인기를 실감케했다.
◆ 변화무쌍한 ‘원천 스토리’ 소스… 역사 자양분 삼아 다양한 콘텐츠로 발현
- 연사로 나선 김동휘 PD는 드라마 속 캐릭터들의 매력을 도출해내는 연출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했다. <조선로코-녹두전> 제작에 큰 영감을 준 원작 웹툰 <녹두전>의 몰입도 높은 스토리 덕분에 탄탄하게 짜여진 구성과 높은 완성도로 대중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는 소감을 전했다. 더불어 원작 웹툰을 드라마화 하는 과정에서 생긴 다양한 에피소드, 드라마 연출 전문가로서 가진 철학을 소개하고 ‘정통 사극’의 틀을 벗어난 최근 사극 트렌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.
- 웹툰 작가 혜진양은 사극과 로맨스물의 장르적 특징을 결합한 ‘크로스오버’ 콘텐츠 <녹두전>의 창작 과정에서 받았던 영감에 대해 관객들과 소통했다. 또한 웹툰이 드라마 원천 스토리로 사용될 수 있었던 비결을 관객들에게 공개하며 독특한 작화 스타일 등의 노하우를 공유하기도 했다.
- 이날 행사에 참석한 박인남 콘진원 창업지원팀장은 “웹툰 <녹두전>의 사례처럼, 역사는 콘텐츠 창작의 밑거름이 되는 요소가 될 수 있다”며 “우수한 원천 콘텐츠를 만들어내기 위해선 과거 사회적 상황을 잘 분석하고, 당대 역사가 현 시대에 전달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창의력을 동원하여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”고 전했다.
◆ 반만년 우리 역사 속 잠들어 있는 ‘무궁무진’ 한 콘텐츠 아이디어 공유의 장
- <역발상 토크콘서트>는 우리 역사 속에서 원천 콘텐츠의 뿌리를 발굴하고, 이를 활용한 콘텐츠 창작을 활성화하기 위해 콘진원과 예비 창작자 및 일반인이 함께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장이다.
- 현재까지 ▲영원히 죽지않는 자(이준익 감독, 정현민 작가) 작품을 시작으로 ▲주상전하 납시오(김이영 작가, 무적핑크) ▲한국사의 셜록(유성호 교수, 손선영 작가) ▲조선, 묻다 ; 조선에 묻힌 흔적을 묻다(신경수 PD, 황조윤 작가) ▲때가 이르매, 광복의 때가 이르렀다(조민호 감독, 박영규 작가) 등의 작품 사례를 통해 우리 역사에 담긴 가치를 조명하며 대중과 소통해왔다.
- 이밖에도 콘진원은 역사문화포털 컬처링(www.culturing.kr)을 기반으로 <역발상 토크콘서트>를 비롯해 <역발상 창작단> 등 다양한 예비 창작자 지원 사업을 전개중이다. 컬처링은 국내 역사‧문화‧민속‧고전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통합 제공하는 서비스로 약 180만 건 이상의 방대한 역사‧문화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.
-

사진1. 지난 5일 광화문 CKL기업지원센터에서 <2019 역발상 토크콘서트>가 열렸다. (왼쪽부터 MC 김일중, 웹툰작가 혜진양, 김동휘 PD)
-

사진2. 지난 5일 광화문 CKL기업지원센터에서 <역발상 토크콘서트>가 열렸다.
-

사진3. 지난 5일 광화문 CKL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<2019 역발상 토크콘서트>에서 웹툰작가 혜진양이 예비 창작자들에게 경험을 공유하고 있다.
-

사진4. 지난 5일 광화문 CKL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<2019 역발상 토크콘서트>에서 김동휘 PD가 예비 창작자들에게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.
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콘텐츠진흥원 홍보팀 이하영 대리(061.900.6362)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
붙임. <2019 역발상 토크콘서트> 현장사진